본문 바로가기
Spring

Spring 를 시작하기전에 MVC패턴

by 개발자깡 2020. 10. 15.

오늘 수업부터는 Spring을 배워본다고 하는데! 

MVC패턴이 중요하다고 해서 수업한거 정리할겸 기록을 해보겠다 ㅎㅎ

 

원래 하던 방식:

Front Controller(kr.smhrd.controller) => servlet

 

MVC패턴:

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Model(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), View(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), Controller(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 사이의 상호동작)로 구성돼있다!


스프링에서 왜 MVC패턴을 쓰는걸까!?

 

코딩을 하면서 효율적으로 만들어지는 일련의 패턴들이 있는데 그걸 정형화 시켜서 디자인패턴이 된것이라고 한다.

그 중 MVC패턴은 Model, View, Controller를 분리하여 유지보수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!

 

 

 

1.클라이언트(요청) -> 2.controller(비즈니스로직처리) -> 3.view선택 -> 4.응답

 

 

pojo(Plain Old Object) => java (여러명의 알바생을 고용)

request에 list를 담아서 request번지수를 View에게 알려준다.

View는 번지수를 찾아가서 RequestDispatcher를 이용해서 요청을 의뢰할 페이지(list)를 얻어옴.

그리고나서 forward 로 jsp 에게 넘겨준다.

 

VO에서 default값으로 만들어놓은 MemberVO 사용

memberInsert에 성공해서 update가 되면 성공!

nextPage는 다시 회원리스트를 보여주기 위해 /mvc1/list.do로 이동한다.

 

이렇게 spring이 동작하는 원리를 공부해보았다.

 

스마트미디어인재개발원 빅데이터교육과정수료과정 수업내용을 기록한 것 입니다.